생활정보

벌에쏘였을때 버물리? 처치방법 기본상식 알아둬야해요

정똑순 2023. 9. 12. 07:45

안녕하세요 정똑순입니다:D

가을철에 날이 좋아져서 바다로 산으로 많이 나가기 마련인데요, 특히 등산과 벌초하면서 벌에 쏘이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어떤 경우에 벌에 잘 물리고, 벌에쏘였을때 대처요령과 치료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 아래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벌이 좋아하는 냄새,색깔

 

1. 향이 있는 물품 

: 향수, 화장품, 꽃 

 

2. 어두운색상의 옷

:어두운 계열의 색깔에 벌들이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에 밝은계열의 옷을 입어야합니다

 

 

 

2) 벌에쏘였을때 증상

 

1. 부풀어오름

2. 가려움

3. 따가운 통증

4. 심한 경우 어지러움, 복통, 호흡곤란 등이 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바로 응급실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입니다

 

 

 

 

3) 벌에쏘였을때 대처요령

 

1. 한개 즈음 가지고 있는 카드 등으로 벌 쏘인 곳의 벌침을 신속히 긁어서 제거해줍니다.

2. 비누와 물을 이용해서 소독,세척해줍니다. 감염되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한 팁이기 때문에 반드시 소독해주어야합니다

3. 얼음찜질을 해줍니다

 

 

※벌에 여러번 쏘였거나, 입안을 쏘였을 때에는(목구멍과 혀가 부어올라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119에 신고해서 구급차가 오게 하던지 아니면 가까운 병원에 가서 즉시 치료해야합니다※

 

 

 

4) 벌에쏘였을때 치료방법

 

만약 아나필락시스 증상인 호흡곤란, 어지러움, 현기증, 두드러기, 복통, 구토 등이 발생한다면 바로 병원에 가서 응급조치를 받아야합니다. 병원은 응급의학과 즉, 응급실로 즉시 가야합니다. 집에 상비약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게 버물리를 찾아서 바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제대로된 치료방법이 아니고,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이나 부루펜(이부프로펜)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사망자의 대부분이 벌에 쏘인 후 1시간 안에 사망했다고 하니 빠른 대처와 치료가 필요하겠습니다.

 

 

 

5) 벌쏘임 사고 시기,연령층

 

2017년 부터 현재 2023년인 5년동안 벌쏘임 사고가 5457건이 발생했고 이 중 사망자가 25명입니다

 

-주된 발생 연령층 : 50~60대(50-59세 25.1%)

-주된 발생시기 : 가을 9월(벌쏘임 사고의 절반 이상이 나타난 시기이자 사망자 25명 중 절반이상인 13명이 나타난 시기)

-주된 발생 성별: 남자(남자3512명64.4%/여자1945명35.6%)가 여자보다 1.8% 많다

-주된 발생 요일 : 주말(평일보다는 주말, 오전보다는 오후시간대 사고 주로 발생)

 

이번 추석과 9월에도 벌 조심하셔서 가족들과 행복한 시간 보내는데 지장 없도록 주의하시길 바랍니다!